2025.05.02 (금)

  • 구름조금춘천 24.1℃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수원 24.5℃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포항 27.2℃
  • 맑음군산 24.7℃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목포 23.0℃
  • 맑음여수 19.9℃
  • 구름조금제주 18.9℃
  • 맑음천안 24.9℃
  • 맑음경주시 28.3℃
기상청 제공

부산시 ‘교육’으로 사회적경제 기반 다진다

예비창업자부터 일반 시민까지 맞춤형 4개 교육강좌 개설

부산광역시가 사회적경제 저변 확대를 위한 교육을 강화한다. 부산시는 앞서 올해 사회적경제 실질 성장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인식 개선과 역량 강화 교육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올해부터 예비창업자, 현직자, 전문가, 일반시민 등으로 나눠 사회적경제 강좌를 진행한다. 최근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에 대한 시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공공기관과 기업의 사회적가치 실현이 강조되는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다.

우선 예비창업자를 위한 ‘사회적경제 설명회’가 열린다. 30일에 열리는 설명회를 시작으로 △6월 창업 자금조달 △7월 온라인 판로 △8월 대형유통사 등 판로다각화 △10월 공공기관 진출 △12월 e-나라도우미 활용법 등의 주제가 예정돼있다. 주제마다 전문 강사가 내실있는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사회적경제조직 종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도 진행된다. 지난해 12월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자활기업,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종사자 대부분이 역량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결과를 반영, 격월제로 총 6회에 걸쳐 사회적경제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인 ‘Jump-up(業)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인사ㆍ노무는 물론 세무ㆍ회계, 기관금융ㆍ크라우드 펀딩, 인터넷 쇼핑몰 창업, 지식재산권 활용, 유통사 진입,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 활용 등 사회적경제기업 경영에 필요한 실무는 물론, 실전에서 필요한 정책 등도 다룬다. 사회적가치 지표(SVI)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도 병행한다.

이 밖에 전문가 양성과정인 ‘부산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일반 시민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찾아가는 시민교육’을 개설해 사회적경제에 대한 가치를 확산하고 자속가능한 사회적경제의 토대를 닦을 계획이다.

부산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통해 관련 문의를 할 수 있으며, 교육 수장 신청은 홈페이지(http://bsec.or.kr/)를 통해 하면 된다. 부산시 김윤일 일자리경제실장은 “사회적경제 생태계조성 위한 맞춤형 교육을 확대해 부산의 사회적경제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나아가 사회적경제 선진도시 부산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ksen@ksen.co.kr 변윤재 기자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시니어 1기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숭의종합사회복지관은 지난 3월 12일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4월 30일까지 진행된 ‘스마트시니어 1기’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활용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 기획됐다. ‘스마트시니어’는 1대1 또는 2대1 맞춤형 교육 방식으로 봉사자와 어르신이 함께하는 1∙3세대통합 프로그램이다. 총 11명의 어르신과 6명의 봉사자가 참여한 가운데, ▲스마트폰 기본 설정과 유튜브 활용 ▲카카오톡 프로필 꾸미기 ▲카카오맵 활용 등 3회의 스마트폰 교육과 ▲카페·패스트푸드 키오스크 이해 및 실습 등 2회의 키오스크 이론 교육, ▲현장 실습 3회가 진행됐다. 교육 이후에는 실제로 카페, 무인상점, 패스트푸드점을 직접 방문해 스스로 키오스크를 이용해 주문·결제하는 실습 활동이 이뤄졌으며, 참여 어르신들의 높은 만족도와 자신감 향상을 이끌어냈다. 한 참여 어르신은 “가족들에게 직접 문자를 보낼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하다”고 전했고, 또 다른 어르신은 “매주 카페 모임에서 키오스크 사용이 어려워 부탁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