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춘천 16.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기상청 제공

완주군 '사회적경제 국제포럼' 개최

전북 완주군은 6일 문화강좌실에서 사회적경제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완주군이 커뮤니티 비지니스 정책(이하 CB) 도입 10주년을 기념하고 국내외 사회적경제 동향과 지속가능한 공동체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호소우치 노부다카 일본 커뮤니티비즈니스 종합연구소장, 스테판 판호이젠 네델란드 사회적기업 협의체 정책실장, 윤석인 전 희망제작소 소장, 전대욱 한국지역진흥재단 마을공동체발전센터장 등 국내외 사회적경제 분야 최고의 전문가가 200여명이 참석해 갈등을 넘어 협업으로란 주제로 포럼을 진행했다.


 


기조특강을 맡은 호소우치 노부타카는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주민 주도의 인간성, 사회성, 경제성의 균형을 바탕으로 한 건강한 지역밀착형 사업이다CB사업의 저력을 통해 고령화 사회에서 지역사회를 안정화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스테판 판후이센이 패널로 참석해 유럽의 창업생태계의 성장에는 중앙정부의 정책개발과 지방정부의 활발한 네트워크가 있었다고 전제한 뒤 창업생태계 활성화는 더 많은 투자기회와 사회적 공유 기업을 성장시키는 발판이 되고 있다며 미래에는 공유경제, 더 많은 사회적 공유기업과의 조합이 필요함을 설명했다.


 


전대욱 센터장은 지역공동체 생태계 조성 전략으로 학습조직, 플랫폼, 공유자산, 앵커링 전략을 제시하며 커뮤니티에 의한 공동체 네트워크와 회복력을 강조했다.


 


윤석인 전 소장은 완주군 커뮤니티비즈니스의 과거, 그리고 미래 협업을 위해서는 중간지원조직의 구심점인 지역경제순환센터에 공유경제를 도입, 명실상부한 지역사회 거버넌스를 위한 완주협동사회경제재단을 설립을 제안했다.


 


이어 완주군 청년정책을 연구하고 있는 김주영 씨앗문화예술협동조합 대표와 주민과의 소통을 미디어공동체로 풀어내고 있는 이용규 완두콩 대표가 지정 토론자로 나와 관객과 소통하며 완주 사회적경제에 대해 이야기 했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10만 도농복합도시로 성장한 완주군은 400억원의 매출을 올린 로컬푸드 사업의 성장과 함께 150여개의 사회적경제 조직을 성장시켰다조직간의 협력적 관계망을 통해 지역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지역순환형 관계시장을 만들어가는데 군정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남양주시 장애인가족에 따뜻한 나눔 실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남양주시는 지난 8일,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가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장애인 가족을 위한 후원금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달식은 장애 자녀를 돌보는 장애인가족의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달식에는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배애련 센터장과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 등이 참석해 나눔의 의미를 함께했으며, 후원금은 우리 시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제공기관을 이용해 심리상담을 받고 있는 장애인 가족의 정서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김민서 대표는“일상에 지친 장애인 가족들에게 작지만 따뜻한 쉼과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봉사와 나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배애련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장은 “따뜻한 후원을 해주신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께 감사드리며, 장애인가족에게 실질적인 위로와 격려가 되는 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서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가족을 위한 따뜻한 후원에 감사드리며, 시에서도 장애인 가족
거리에서 일터로… 서울시,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로 자립 토대 놓는다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그냥 일자리가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일자리’입니다” 서울시 동부병원 응급실 보조로 일하는 강 모 씨(65세)는 사업에 실패하고 가족과 헤어진 뒤로 노숙 생활을 하다가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로 재기에 성공했다. 강 씨는 그동안 받았던 따뜻한 응원과 지원을 되갚는단 마음으로 영등포 보현종합지원센터에 3년째 정기후원하고 있다. 서울시가 본격적으로 2025년도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 지원에 들어간다. 시는 공동작업장, 공공일자리, 민간 일자리 등 올해 1,860개 일자리를 지원하고 신용회복, 직무역량 강화, 생애설계 컨설팅 등을 통해 단단한 자활·자립의 토대를 놓아준다는 계획이다.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는 초기에 일하는 습관과 의지 형성을 돕는 공동작업장에서 시작해 다음 단계인 공공일자리 시간제에서 전일제로, 최종적으로는 민간 일자리(경비·서비스직 등)로의 진입을 목표로 단계적 지원된다. 공동작업장에서는 쇼핑백 접기·장난감 조립 등 하루 4시간 내외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시간제 공공일자리로 넘어가면 하루 5시간 씩 환경 정비·급식 보조 등 근로 능력을 높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