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춘천 16.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기상청 제공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모바일 게임 테마 중 하나는 어드벤처… 한국 게임이 어드벤처 수익 순위 6개 자리 차지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글로벌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2023년 인기 테마별 모바일 게임 수익과 다운로드 수 추세, 테마별 모바일 게임의 수익 시장 점유율, 테마별 모바일 게임의 수익 시장 점유율, 테마별 인기 모바일 게임 및 해외 진출 성과 등을 포함한 '2023년 전 세계 테마별 모바일 게임 인사이트' 리포트를 발표했다. 

 

'왕자영요(Honor of Kings)'와 '배틀그라운드 모바일(PUBG MOBILE)' 등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아레나 게임은 가장 높은 인앱 구매 수익을 올린 테마로, 2023년 1월부터 7월까지 전 세계에서 47억달러 이상의 수익을 기록했다. 어드벤처 테마 모바일 게임이 그 뒤를 바짝 쫓았는데 2023년 1월부터 7월까지 전 세계에서 아레나 테마와 동일한 47억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대표적인 모바일 게임으로는 '원신(Genshin Impact)'과 '리니지 M(Lineage M)' 등이 있었다. 

 

2023년 1월부터 7월까지 'Going Balls'와 'Bridge Race'로 대표되는 하이퍼캐주얼 테마의 모바일 게임은 23억 건에 육박하는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모바일 게임 테마가 됐다. 'Ludo King™', 'Block Blast Adventure Master' 등 실제 테이블탑 게임을 시뮬레이션한 테이블탑 테마의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역시 2023년 1월부터 7월까지 전 세계에서 21억 다운로드를 기록할 만큼 우수한 성과를 냈다. 

 

동기간 전 세계 인기 모바일 게임 테마별 인앱 구매 수익 및 전년 대비 성장률을 살펴보면, 게임 쇼 테마의 모바일 게임 수익이 'Eggy Party'의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어 전년 대비 18배나 증가한 2억7000만달러를 돌파했다. 우주, 축구, 포스트 아포칼립스, 무기, 의료, 뱀 등의 테마의 모바일 게임 수익 성장률 역시 두드러졌다. 

 

무기 테마의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수가 전년 동기 대비 약 2배 증가하며 2억 건을 돌파하며 해당 테마의 모바일 게임의 다운로드 수 성장률이 가장 높았다. 무기 수집을 테마로 하는 모바일 캐주얼 게임 'Attack Hole'의 다운로드 수의 급증이 주요 동력이었다. '화이트 아웃 서바이벌(Whiteout Survival)'과 '프로즌 시티(Frozen City)'로 대표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테마의 모바일 게임의 다운로드 수도 전년 대비 81% 증가해 해당 테마의 시장 잠재력을 보여줬다. 

 

한국과 일본은 어드벤처, 2차원 와이푸, 축구와 같은 테마의 모바일 게임 수익이 가장 높은 시장이었다. 미국은 돈/보물, 패션/뷰티/헤어, 꾸미기, 포스트 아포칼립스/좀비, 제국 건설 테마의 모바일 게임 수익이 가장 높은 시장이었으며 중국에서는 아레나 테마의 모바일 게임 수익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앞서 살펴봤듯이 아레나 테마와 더불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모바일 게임 테마 중 하나는 어드벤처이다. 어드벤처 테마 모바일 게임의 수익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한 건 '원신'이었으며, '리니지M'을 필두로 한 '리니지W', '리니지2M', 리니지 모바일 3형제는 각각 3위, 5위, 6위에 올랐다. 컴투스의 '서머너즈 워(Summoners War)'는 7위에, 위메이드의 신작 '나이트 크로우(Night Crows)'는 8위에, 그리고 넷마블의 '일곱 개의 대죄(The Seven Deadly Sins)'가 10위에 오르며 한국 퍼블리셔가 서비스하는 어드벤처 테마 모바일 게임이 순위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수익 성장 순위에서도 한국 퍼블리셔가 서비스하는 어드벤처 테마 모바일 게임의 성과가 눈에 띄었다. 8000만달러에 육박하는 수익을 올리며 수익 상위권에 안착했던 '나이트 크로우'는 수익 성장 순위에서는 1위에, 그리고 카카오 게임즈의 '아키에이지 워(ArcheAge War)', 넥슨의 '프라시아 전기(Wars of Prasia)', 그리고 컴투스의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Summoners War: Chronicles)'은 각각 2위, 4위, 5위에 올랐다. 수익 성장 5위권에서 한국 퍼블리셔가 아닌 어드벤처 테마 모바일 게임은 3위에 오른 '데블M'이 유일했다. 

 

37Games가 개발한 신작 판타지 어드벤처 MMORPG '데블 M'은 참신한 다크 신화 세계관과 화려한 전투 장면, 뛰어난 현지화 전략으로 모바일 어드벤처 게임 경쟁이 치열한 한국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023년 1월 한국 시장에 출시된 후 수익이 빠르게 증가하며 3월에 역대 최고 수익인 740만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2023년 7월 말 기준 수익은 3600만달러를 돌파했으며, 그중 90% 이상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발생했다. 

 

유명인 광고 모델 전략으로 이수근을 기용했으며, 실감 나는 내레이션과 화려한 그래픽을 사용한 광고 소재로 몰입도를 향상시켰다. 2023년 1분기 한국 시장 기준, YouTube, Vungle, App Lovin 등 다수 모바일 광고 네트워크에서 어드벤처 모바일 게임 중 '데블 M'의 광고 점유율(SOV, Share of Voice)은 선두를 달렸다. 효율적인 광고 집행은 '데블M' 인기를 견인했다. 

 

전 세계 테마별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2023년 전 세계 테마별 모바일 게임 인사이트' 리포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센서타워 사이트에서 리포트 전문(https://sensortower.com/ko/resources)을 다운받을 수 있다.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남양주시 장애인가족에 따뜻한 나눔 실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남양주시는 지난 8일,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가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장애인 가족을 위한 후원금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달식은 장애 자녀를 돌보는 장애인가족의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달식에는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배애련 센터장과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 등이 참석해 나눔의 의미를 함께했으며, 후원금은 우리 시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제공기관을 이용해 심리상담을 받고 있는 장애인 가족의 정서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김민서 대표는“일상에 지친 장애인 가족들에게 작지만 따뜻한 쉼과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봉사와 나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배애련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장은 “따뜻한 후원을 해주신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께 감사드리며, 장애인가족에게 실질적인 위로와 격려가 되는 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서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가족을 위한 따뜻한 후원에 감사드리며, 시에서도 장애인 가족
고용노동부 보령지청, 지역 일자리 유관기관과 2025년 상반기 ‘보령 일자리 네트워크’ 협의회 개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고용노동부 보령지청(지청장 이점석)은 23일 보령고용복지센터에서 지역의 일자리 유관기관과 함께 2025년 상반기 ‘보령 일자리 네트워크’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고용노동부 보령지청, 5개 지자체 일자리부서, 새일센터, 관내 대학, 노사발전재단, 지역의 청‧중장년 유관기관 등 20개 기관이 참석하여 각 기관별로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자리 사업을 공유했다. 또한 지역의 일자리 사업을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연계‧협업할 수 있는 일자리 네트워크 구축과 유관기관 간 소통‧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보령 일자리 네트워크’는 기존에 보령지청 관내 일자리 유관기관이 개별적으로 운영되어왔던 사업을 하나의 일자리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관 간 협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취업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날 참석한 일자리 유관기관은 고용센터를 중심으로 본 협의회를 반기별로 개최하고 실무자 중심의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으며, 지역 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장년층과 취업 취약계층 등을 지원하여 지역 고용 활성화를 위해 협력하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