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춘천 16.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기상청 제공

AI 앱 다운로드 수 3억건 돌파, 이미 2022년 넘어서… AI 기술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챗봇’, ‘이미지 생성’

 

 

KSEN 박진수 기자 | 글로벌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2023년 전 세계 인공지능(AI) 앱의 다운로드와 수익 성과, 주요 AI 앱의 다운로드 및 수익 순위, 인기 AI 앱의 광고 트렌드 등 AI 앱 시장에 대한 분석을 담은 '2023년 AI 앱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를 발표했다. 

 

AI 알고리즘 발전으로 새로운 AI 앱이 등장하고, 기존 앱에 AI 기능을 빠르게 추가하는 등 글로벌 AI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23년 상반기 AI 앱 다운로드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 성장해 3억건을 돌파하며 2022년 전체 수준을 넘어섰다. 

 

'렌사 AI(Lensa AI)', '챗GPT(ChatGPT)' 등 사용자들에게 인정받은 AI 앱이 점점 더 많아지며 이는 결제로 이어지고 있다. 2023년 상반기 AI 앱이 인앱 구매를 통해 올린 수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5%나 급증해 4억달러에 육박했다. 

 

미국은 AI 앱의 인앱 구매 수익이 가장 높은 시장으로, 2023년 상반기 전 세계 주요 모바일 AI 앱 총수익의 55% 이상을 차지했다. AI 앱은 유럽 시장에서도 역시 큰 수익을 창출했는데, 2023년 상반기 주요 AI 앱의 총수익 가운데 20%가 유럽에서 발생했다. 

 

AI 기술은 챗봇과 이미지 생성,처리 부분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 2023년 상반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다운로드 수를 기록한 상위 100개 AI 앱 가운데 50개가 넘는 앱이 'AI+챗봇' 앱으로, 전체 다운로드의 49%를 차지했다. 30개 가까운 AI 이미지 앱도 상위권에 타이틀을 올렸으며 다운로드 점유율은 31%에 달했다. 

 

2022년 12월 초 '챗GPT'가 출시되면서 'AI+챗봇' 분야는 빠르게 활성화됐다. 2023년 상반기 시장에 공개된 AI+챗봇 앱 수는 200개 이상에 달했으며, 다운로드 수는 1억7000만건을 돌파하는 등 AI+챗봇 분야는 경쟁이 매우 치열해졌다. Codeway가 서비스하는 앱인 'Chat with Ask AI'는 올해 4월 1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으며, 이후 OpenAI가 5월 말에 공개한 iOS용 챗GPT는 6월에 1200만 다운로드를 달성하며 해당 분야의 경쟁자들을 앞질렀다. 

 

2023년 3월 초 Codeway Digital이 챗GPT API에 기반한 챗봇 앱 'Chat with Ask AI'를 출시했다. 강력한 Q&A 기능과 원활한 Q&A 경험을 제공하며 2023년 상반기 25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고, 수익 역시 1600만달러를 넘어서며 AI+챗봇 분야에서 가장 높은 다운로드와 수익을 올린 앱이 됐다. 

 

'DALL+E' 및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이 성숙하면서 'AI+이미지' 앱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2023년 상반기 150개 이상의 관련 앱이 출시됐으며, 다운로드도 1억건을 돌파했다. 2022년 말 렌사 AI는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을 기반으로 '매직 아바타' 프로필 사진 생성 기능을 출시했다. 다운로드 수는 빠르게 증가해 12월에는 1700건을 돌파했다. 

 

렌사 AI에 대한 입소문으로 수많은 이미지 편집 앱이 AI 기능을 탑재하기 시작했으며, 많은 앱 이름에 큰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2023년 상반기에는 'PhotoRoom AI Photo Editor'로 대표되는 이미지 편집 앤의 인기가 높아져 AI+이미지 앱 다운로드 순위와 수익 순위 상위 10개 앱 가운데 7개가 이미지 편집 앱이었다. 

 

AI 앱의 인앱 구매 수익이 가장 높은 시장인 미국을 기준으로 2023년 2분기 광고 네트워크별 AI 앱 광고 점유율을 보면 '빙(Bing)'이 단연 돋보인다. Apple Search에서는 2위, AdMob과 Instagram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주요 AI 앱의 인기 광고 소재를 살펴보면 제품의 가장 경쟁력 있는 기능을 보여주고, CTA와 과장된 이모티콘과 같은 요소를 추가해 사용자의 다운로드를 유도했다. 예를 들어 렌사 AI의 광고 소재는 '매직 아바타' 기능을 선보이며 사용자의 과장된 표정과 슬로건을 통해 제품을 기능을 강조했다. 

 

전 세계 앱 시장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2023년 AI 앱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센서타워 사이트(https://sensortower.com/ko/resources)에서 리포트 전문을 다운할 수 있다.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남양주시 장애인가족에 따뜻한 나눔 실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남양주시는 지난 8일,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가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장애인 가족을 위한 후원금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달식은 장애 자녀를 돌보는 장애인가족의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달식에는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배애련 센터장과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 등이 참석해 나눔의 의미를 함께했으며, 후원금은 우리 시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제공기관을 이용해 심리상담을 받고 있는 장애인 가족의 정서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김민서 대표는“일상에 지친 장애인 가족들에게 작지만 따뜻한 쉼과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봉사와 나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배애련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장은 “따뜻한 후원을 해주신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께 감사드리며, 장애인가족에게 실질적인 위로와 격려가 되는 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서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가족을 위한 따뜻한 후원에 감사드리며, 시에서도 장애인 가족
고용노동부 보령지청, 지역 일자리 유관기관과 2025년 상반기 ‘보령 일자리 네트워크’ 협의회 개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고용노동부 보령지청(지청장 이점석)은 23일 보령고용복지센터에서 지역의 일자리 유관기관과 함께 2025년 상반기 ‘보령 일자리 네트워크’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고용노동부 보령지청, 5개 지자체 일자리부서, 새일센터, 관내 대학, 노사발전재단, 지역의 청‧중장년 유관기관 등 20개 기관이 참석하여 각 기관별로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일자리 사업을 공유했다. 또한 지역의 일자리 사업을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연계‧협업할 수 있는 일자리 네트워크 구축과 유관기관 간 소통‧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보령 일자리 네트워크’는 기존에 보령지청 관내 일자리 유관기관이 개별적으로 운영되어왔던 사업을 하나의 일자리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관 간 협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취업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날 참석한 일자리 유관기관은 고용센터를 중심으로 본 협의회를 반기별로 개최하고 실무자 중심의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으며, 지역 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장년층과 취업 취약계층 등을 지원하여 지역 고용 활성화를 위해 협력하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