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구름조금춘천 13.4℃
  • 맑음서울 14.2℃
  • 맑음인천 13.3℃
  • 구름조금원주 12.6℃
  • 맑음수원 14.0℃
  • 맑음청주 14.3℃
  • 맑음대전 13.4℃
  • 맑음안동 13.6℃
  • 맑음포항 15.7℃
  • 맑음군산 13.7℃
  • 맑음대구 15.4℃
  • 맑음전주 14.2℃
  • 맑음울산 15.4℃
  • 맑음창원 14.0℃
  • 맑음광주 14.8℃
  • 맑음부산 15.4℃
  • 맑음목포 14.0℃
  • 맑음여수 15.5℃
  • 구름조금제주 15.5℃
  • 맑음천안 14.1℃
  • 맑음경주시 14.8℃
기상청 제공

김수현 신작 에세이 『애쓰지 않고 편안하게』 사상 최고 선인세로 일본 수출”

애쓰지 않고 편안하게사상 최고 선인세로 일본 수출

김수현 신작 에세이, 2억 원이 넘는 선인세로 일본 수출 확정! K-에세이 열풍의 정점 찍어

김수현 작가의 신작 에세이 『애쓰지 않고 편안하게』(다산북스)가 2억 원(2천만 엔)이 넘는 선인세로 일본에 수출이 확정되었다. 기존에 한국 출판 사상 최고가로 일본에 수출된 책은 『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했다』로, 선인세는 2천만 원(2백만 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니까 기존의 기록을 무려 열 배 이상 경신한 것. 일본의 주요 출판사 20곳 이상이 오퍼를 신청할 정도로 판권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했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한국 에세이의 상업적 성공 가능성이 이미 검증됐기 때문이다. 『82년생 김지영』으로 시작된 일본 출판시장에서의 선전이 에세이 분야로 옮겨붙었고, 김수현 작가의 전작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는 일본 에세이 분야 1위를 차지하며 20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했다』 등도 일본에서 좋은 판매 성적을 올리며, K-에세이의 붐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그동안 거액의 선인세를 지불하며 일본 출판물을 일방적으로 수입만 해온 한국이었기에, 이번 『애쓰지 않고 편안하게』의 수출 소식에 출판업계 전체가 반색하고 있다. 이 책 한 권만의 특수한 이벤트가 아니라, 일본 출판시장 자체가 활짝 열렸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국 에세이가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 대만,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전역에서 인기를 끌고 있기에, 작가들에게도 글로벌 시장에서 읽힐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문학이 세계 시장에서 작품성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면, 지금 글로벌 시장에서 읽히는 에세이들은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하고 있기에 앞으로 더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영화, 드라마, K-POP에 이어 국내 출판물도 거대한 한류의 붐을 일으킬 준비를 마친 셈이다.

『애쓰지 않고 편안하게』가 한국에 출간되자마자 일본 독자들은 김수현 작가의 SNS 계정에 “일본에서는 책이 언제 나오는 거냐?” “새 책을 기다리고 있었다”는 등의 문의 글과 응원 글을 남길 정도로, 김수현 작가는 이미 일본에도 팬덤이 형성되어 있다. 다산북스 한승빈 저작권팀장은 “일본 유명 소설가의 저작권이 수억에 한국에 팔리며 미디어에서 화제를 모으던 것에만 익숙해진 우리에게 K-출판의 시대가 올 것인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며 K-에세이 열풍의 의미를 밝혔다.

실제 일본 독자의 반응을 보면, 책을 읽고 큰 위로와 용기를 얻었다”는 식의 리뷰가 가장 많다. 각자의 개성은 뚜렷하면서도 그 안에 담긴 메시지는 보편적인 한국 에세이가 일본 독자들에게 제대로 먹힌 것이다. 원고 퀄리티는 물론 책 만듦새까지 일본 출판을 다 따라 잡았다는 게 최근 출판계의 인식이기도 하다.

코로나 시대, 넷플릭스를 통해 일본 안방을 접수한 한국 드라마에 이어 한국 출판물도 일본 서재를 접수할 준비를 마쳤다. 머지않아 출판시장에서도 수입과 수출이 엇비슷하게 이뤄지는 날이 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kjc816@ksen.co.kr  김인효 기자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