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구름많음춘천 6.4℃
  • 박무서울 8.5℃
  • 박무인천 7.4℃
  • 흐림원주 8.0℃
  • 연무수원 8.9℃
  • 흐림청주 9.4℃
  • 대전 9.5℃
  • 안동 7.4℃
  • 구름많음포항 12.0℃
  • 흐림군산 10.1℃
  • 구름많음대구 11.8℃
  • 구름많음전주 9.9℃
  • 울산 11.8℃
  • 구름조금창원 10.6℃
  • 구름조금광주 10.1℃
  • 부산 11.6℃
  • 구름많음목포 10.7℃
  • 구름많음여수 10.8℃
  • 구름많음제주 13.2℃
  • 구름많음천안 8.8℃
  • 흐림경주시 10.1℃
기상청 제공

부산시, 지역밀착형 창조일자리 프로젝트 성공적으로 진행 중

부산시가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시행하고 있는 ‘지역밀착형 창조일자리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가 현재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고용노동부의 ‘2013년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올해 초부터 추진되고 있다.



 



프로젝트는 지역의 미취업 주민들이 과거 경력이나 특기 등을 살려 지역재생 전문가로 활동하며 자립할 수 있도록 교육·컨설팅하는 사업으로 올해 2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그 결과 IMF와 경기침체, 육아 등의 이유로 경제활동에서 물러났던 베이비부머 및 경력단절 여성들이 6개월간의 교육과 실습을 통해 마을재생을 위한 협동조합 ‘CO-TOWN’을 설립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프로젝트 교육생이 설립한 ‘CO-TOWN’은 마을코디네이터 협동조합으로 조합원은 마을만들기 사업이 진행되는 지역 및 주민공동체 활성화를 필요로 하는 지역에서 마을 퍼실리테이터로 활동할 예정이다.



 



교육생 20명 중 14명이 설립에 참여한 ‘CO-TOWN’에는 전직 반도체 제조사 부장, 스피치 강사, 미술강사, 선박설계 회사 과장, 독서지도사, 수필가, 플로리스트, 레크레이션 강사 등 다양한 경력을 가진 분들이 조합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조합원들은 과거 경력과 특기를 살려 주민교육, 환경교육, 문화예술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프로젝트 교육과정 중 하나인 ‘마을전문가양성사업’은 지역주민을 마을전문가로 양성해 사회 재진입 기회를 확대하고 협동조합형 창업아이템을 선정·발굴하여 실제 창업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총 238시간의 강의, 현장교육, 워크숍 등이 진행됐다. 교육생 전원에게는 12월까지 실무습득 기회와 협동조합설립 및 운영을 위한 전문가 및 사업홍보·마케팅 지원 등이 이루어진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역밀착형 창조일자리 프로젝트’가 중장년층의 재취업 및 창업으로 이어지면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라고 전하고,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사회 재진입을 원하는 은퇴 베이비부머와 경력단절 여성들은 마을에서 일자리를 찾고, 도시재생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마을공동체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부산시청, 2013.11.14)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