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1 (금)

  • 맑음춘천 3.3℃
  • 맑음서울 3.6℃
  • 맑음인천 4.6℃
  • 맑음원주 5.7℃
  • 맑음수원 4.4℃
  • 맑음청주 7.5℃
  • 맑음대전 6.4℃
  • 맑음안동 8.0℃
  • 구름많음포항 11.0℃
  • 맑음군산 6.7℃
  • 구름많음대구 9.9℃
  • 맑음전주 8.4℃
  • 맑음울산 8.9℃
  • 맑음창원 9.4℃
  • 박무광주 9.3℃
  • 맑음부산 11.0℃
  • 구름조금목포 10.9℃
  • 맑음여수 10.6℃
  • 흐림제주 12.2℃
  • 맑음천안 6.8℃
  • 구름많음경주시 9.8℃
기상청 제공

독일 국민 동화책 '타피티' 원작 애니메이션!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 티저 포스터 공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김은영 기자 |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가 오는 11월 극장 개봉을 확정지으며 티저 포스터를 공개했다.[감독 : 니나 웰스 | 수입/배급 : 박수엔터테인먼트 | 등급 : 전체관람가]

 

혼자 있고 싶은 미어캣 ‘타피티’와 가족을 꿈꾸는 꼬마돼지 ‘베이브’가 전설 속 파란 꽃을 찾아 나서며 벌어지는 좌충우돌 사막 어드벤처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는 예기치 못한 위기 속에서 점차 진정한 우정의 의미를 배워가는 이야기를 통해 관객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개된 티저 포스터는 끝없이 펼쳐진 사막 위, 거대한 독수리가 ‘타피티’와 ‘베이브’를 발톱에 움켜쥔 채 날아오르는 장면을 담아냈다.

 

거대한 날개의 실루엣과 두려움과 호기심이 교차하는 캐릭터들의 표정은 앞으로 어떤 사건이 펼쳐질지 궁금증을 자아내며 영화의 긴장감과 모험심을 동시에 전달한다. 특히 서로 너무도 다른 성격을 가진 두 친구가 어떤 관계로 발전하게 될지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된다.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는 독일의 국민 동화책 '타피티' 시리즈를 원작으로 한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다.

 

귀여운 미어캣과 돼지 캐릭터의 유쾌한 모험담은 2013년 첫 출간 이후 12년간 유럽 전역에서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했으며, 국내에서도 출판되어 어린이 독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를 원작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는 2025년 체코 Zlin 어린이 영화제에서 월드 프리미어 공개를 시작으로, 뮌헨 영화제 관객상 수상 등 다수의 유럽 영화제에 초청과 수상을 이어가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씽', '마이펫의 이중생활', '슈퍼배드3',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등 전 세계적으로 흥행한 애니메이션의 실력파 제작진이 참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기대감을 한층 높이고 있다.

 

다수의 글로벌 흥행작을 만든 제작진인 만큼,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 또한 믿고 즐길 수 있는 웰메이드 애니메이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동화책의 감성을 스크린으로 옮겨온 완성도 높은 가족 애니메이션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는 오는 11월 전국 극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