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춘천 4.8℃
  • 흐림서울 8.1℃
  • 박무인천 7.9℃
  • 흐림원주 6.7℃
  • 흐림수원 9.1℃
  • 흐림청주 9.1℃
  • 흐림대전 8.8℃
  • 안동 5.5℃
  • 연무포항 11.3℃
  • 구름많음군산 10.7℃
  • 박무대구 9.5℃
  • 전주 9.3℃
  • 연무울산 11.6℃
  • 연무창원 12.3℃
  • 구름많음광주 10.1℃
  • 연무부산 13.6℃
  • 목포 8.4℃
  • 흐림여수 11.5℃
  • 구름많음제주 13.2℃
  • 구름많음천안 8.7℃
  • 구름많음경주시 9.2℃
기상청 제공

재능에 가치를 더했더니...사회적기업 ‘활짝’

사회적기업진흥원 재능기부뱅크 프로보노성과공유회 개최

올해 전문가 149명 프로보노 활동293개 사회적기업 지원받아

올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을 통해 사회적기업에 재능기부를 한 프로보노의 수가 149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영업·마케팅·금융 등 전문 지식을 활용해 사회적기업의 안정적인 경영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견인했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은 27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재능기부뱅크 프로보노 SE프로 성과공유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성과를 발표했다.

프로보노란 ‘공익을 위해’(for the public good)라는 뜻의 라틴어 약어다. 전문가가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해, 자발적이고 대가없이 공공을 위해 하는 봉사를 지칭한다.

사회적경제기업은 전문성을 지닌 인적 자원을 보유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사업화 아이디어는 있지만, 회사를 꾸려나가는 데 필요한 경영·회계·법률 등에서 전문성이 미흡한 것이다. 진흥원은 이같은 부분을 보완하고자 재능기부뱅크 사업을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이 경영 기반을 닦을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올해에는 재능기부뱅크 사업을 통해 프로보노 및 SE프로 149명이 활동했으며, 293개의 사회적경제기업이 지원을 받았다.

이날 행사에서는 프로보노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는 시간도 마련됐다. 프로보노 활동가, 사회적경제기업가 등 100여명이 참석해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우수 프로보노와 SE프로에 대한 시상, 가치있는 프로보노 활동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

특히 영업·마케팅·금융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한 재능기부 사업과 분야별로 프로젝트들이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올해 추가로 진행된 중장년층을 사회적경제기업에 매칭하는 SE프로 지원사업, 효과적 매칭을 돕기 위해 운영된 코디네이터 등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이 가운데 2009년부터 사회적기업의 제품 디자인, 상표 및 CI제작을 지원한 국민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사례는 참가자들에게 호응을 얻었다. 연세대 사회혁신학회도 우수 사례로 꼽혔다.

김인선 사회적기업진흥원장은 “다양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전문가들의 재능기부를 바라고 있고, 사회적가치로 도움을 주려 접근하는 것 자체는 큰 의미”라며 “앞으로도 프로보노를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영지원을 도울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