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구름조금춘천 24.1℃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수원 24.5℃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포항 27.2℃
  • 맑음군산 24.7℃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목포 23.0℃
  • 맑음여수 19.9℃
  • 구름조금제주 18.9℃
  • 맑음천안 24.9℃
  • 맑음경주시 28.3℃
기상청 제공

중도 입국 청소년 ‘소음 프로젝트'CSR 필름페스티벌 글로벌 나눔 부문 수상

중도 입국 청소년 ‘소음 프로젝트’, CSR 필름페스티벌 글로벌 나눔 부문 수상

행복나눔재단이 만든 다큐멘터리 영화 ‘비자 :없는 아이들’이 11월 25일 CSR 필름페스티벌에서 한국국제협력단이사장상 글로벌 나눔 부문을 수상했다. 비자 :없는 아이들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중도 입국 청소년의 문제점을 다룬다. 중도 입국 청소년은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 가운데 외국에서 성장하다 청소년기에 다시 입국한 청소년을 말한다.

교육부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 이주 배경 청소년은 약 14만7000명으로, 이 가운데 중도 입국 청소년의 비율은 23%(3만3000명)에 달한다. 최근 8년간 국내에 거주하는 중도 입국 청소년 수는 빠르게 늘고 있다. 2013년도 약 1만명이었던 중도 입국 청소년은 2020년 3만3000명으로 증가했다. 8년 사이 237%가 늘어난 것이다.

이에 행복나눔재단은 올 6월 ‘중도 입국 청소년의 성장과 자립으로 이뤄가는 건강한 다문화 사회’라는 주제로 콘퍼런스를 개최, 국내 사회 혁신가들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다큐멘터리 비자 :없는 아이들이 다루는 중도 입국 청소년 문제는 첫째 한국어 습득 및 한국 문화 적응의 어려움, 둘째 공교육 진입 및 학습의 어려움, 셋째 부모와 장기 분리에 따른 가족 관계, 넷째 청소년기 심리·정서 안정 부족, 다섯째 체류 자격 불안정, 여섯째 지원 제도 미비, 일곱째 정보 부족에 따른 미래 설계·준비의 어려움 등 크게 7가지다.

영화에서 해밀학교 김인순(가수 인순이) 이사장이 언급한 것처럼 대한민국은 다문화 사회로 이미 진입했다. 사각지대에 놓인 중도 입국 청소년들을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키워내는 것은 더 미룰 수 없는 일이다. 중도 입국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지 못하면 또 다른 사회적 부담이 될 것이다.

행복나눔재단의 비자 :없는 아이들의 수상은 행복나눔재단의 공식 프로젝트 차원에서 만들어진 게 아니다. 올 6월 중도 입국 청소년 관련 콘퍼런스 이후 재단 구성원 가운데 몇몇이 자발적으로 모여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을 이슈라이징하는 ‘소음(小音)’이라는 사이드 프로젝트팀(업무 외 시간에 하는 프로젝트)을 만들었고, 이들이 배출한 몇 가지 결과물 가운데 하나가 비자 :없는 아이들이다.

소음팀은 다큐멘터리 제작 외에도 이주 배경 아이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 개설, 중도 입국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모아둔 소셜 미디어 채널 오픈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수원시글로벌청소년드림센터 허승연 센터장은 “한국 사회에 머무는 이주민들의 안정적 적응을 위해서는 이들의 이야기를 더 많은 사람이 알고 공감하는 게 필수”라며 “소음 팀의 움직임이 기쁘고 감사하다”고 말했다.

한편 소음 팀은 12월 18일 이주민의 날을 맞아 중도 입국 청소년 멘토링 및 네트워킹 형성을 위한 행사 ‘HAPPY NOISE’를 개최할 예정이다.

 

김인효 기자 kjc816@ksen.co.kr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시니어 1기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숭의종합사회복지관은 지난 3월 12일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4월 30일까지 진행된 ‘스마트시니어 1기’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활용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 기획됐다. ‘스마트시니어’는 1대1 또는 2대1 맞춤형 교육 방식으로 봉사자와 어르신이 함께하는 1∙3세대통합 프로그램이다. 총 11명의 어르신과 6명의 봉사자가 참여한 가운데, ▲스마트폰 기본 설정과 유튜브 활용 ▲카카오톡 프로필 꾸미기 ▲카카오맵 활용 등 3회의 스마트폰 교육과 ▲카페·패스트푸드 키오스크 이해 및 실습 등 2회의 키오스크 이론 교육, ▲현장 실습 3회가 진행됐다. 교육 이후에는 실제로 카페, 무인상점, 패스트푸드점을 직접 방문해 스스로 키오스크를 이용해 주문·결제하는 실습 활동이 이뤄졌으며, 참여 어르신들의 높은 만족도와 자신감 향상을 이끌어냈다. 한 참여 어르신은 “가족들에게 직접 문자를 보낼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하다”고 전했고, 또 다른 어르신은 “매주 카페 모임에서 키오스크 사용이 어려워 부탁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