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춘천 6.5℃
  • 흐림서울 7.9℃
  • 구름많음인천 7.4℃
  • 구름많음원주 8.5℃
  • 구름많음수원 8.1℃
  • 구름많음청주 9.6℃
  • 대전 9.7℃
  • 구름많음안동 8.2℃
  • 구름조금포항 13.0℃
  • 흐림군산 9.3℃
  • 구름조금대구 12.1℃
  • 전주 9.2℃
  • 맑음울산 12.5℃
  • 구름많음창원 12.3℃
  • 광주 8.9℃
  • 구름조금부산 12.6℃
  • 구름많음목포 10.1℃
  • 구름조금여수 11.5℃
  • 제주 12.2℃
  • 흐림천안 7.7℃
  • 구름조금경주시 12.3℃
기상청 제공

제주문화예술재단, 2025 제주문화예술교육 성과공유주간 '아트리치위크' 개최

제주문화예술재단, 오는 27일부터 30일까지 제주시와 서귀포시에서 문화예술교육 축제 개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제주문화예술재단은 오는 27일부터 30일까지 4일간 제주도 소통협력센터(제주시 관덕로 44)와 서귀포 꿈꾸는 예술터(서귀포시 천제연로 164)에서 2025년 제주문화예술교육 성과를 도민에게 공유하는 문화예술교육 축제인 '아트리치위크'를 운영한다.

 

이번 행사는 '예술이었던 순간들'을 주제로 대한민국 문화예술교육 정책 20주년 및 도내 최초의 문화예술교육 전용공간 '서귀포 꿈꾸는 예술터' 개관 등을 기념하며 누구나 일상 속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메인 프로그램으로는 ▲제주문화예술전문인력 양성사업 성과공유회 '문화: 소셜 투게더'(27일 19시), ▲유아 문화예술교육 활동가 워크숍 '어린이의 두 글자'(28일 11시), ▲꿈의 극단 제주 전문가 간담회(28일 15시), ▲제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참여단체가 참여하는 성과공유회 '아트리치 데이'(28일 18시), ▲예술가와 도민이 함께하는 공연 '예술의 계절'(29일 13시), ▲서울시립사진미술관 박소진 학예연구사와 함께하는 아카이빙 워크숍 '예술로 함께했던 순간'(29일 15시) 등이 운영된다.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28일부터 30일까지 제주시와 서귀포시에서 도내 문화예술교육 10개 단체(예술가)가 기획한 AI를 활용한 음원 만들기, 증강현실 그림책 만들기를 비롯하여 공예, 연극, 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팝업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상설 프로그램으로는 제주문화예술교육 아카이브 전시인 '청춘기록'과 크리스마스 아트키트 만들기 프로그램이 동시에 진행된다. 팝업 프로그램은 선착순 사전 신청을 통해 참여 가능하며, 자세한 프로그램 정보는 재단 누리집 및 인스타그램(@cultureartjeju)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재단 김석윤 이사장은 “2025년은 더 많은 도민들이 문화예술교육을 향유할 수 있도록 기반을 한층 더 탄탄하게 구축한 해"라며, "지역과 도민이 함께 성장하는 문화예술교육 축제를 만들기 위해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제주문화예술재단]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