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구름많음춘천 2.5℃
  • 맑음서울 9.1℃
  • 구름조금인천 9.9℃
  • 맑음원주 6.7℃
  • 맑음수원 6.8℃
  • 맑음청주 9.3℃
  • 맑음대전 8.6℃
  • 맑음안동 4.8℃
  • 맑음포항 12.1℃
  • 맑음군산 8.9℃
  • 맑음대구 6.5℃
  • 맑음전주 8.9℃
  • 맑음울산 11.0℃
  • 맑음창원 10.5℃
  • 맑음광주 10.4℃
  • 맑음부산 13.5℃
  • 맑음목포 12.5℃
  • 맑음여수 11.5℃
  • 맑음제주 15.5℃
  • 맑음천안 4.7℃
  • 맑음경주시 4.7℃
기상청 제공

서울시가 '픽’한 공유 기업은

공유단체·기업 지정 공모최대 5000만원 사업비 지원

서울시가 올해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적극 나선다. 시가 인증하는 민간 공유경제 단체 및 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릴 예정이다.

잠재력있는 공유 단체 및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25일부터 3월 6일까지 공모를 실시한다. 신청시 공유 촉진 사업비 지원 신청도 함께 할 수 있다.

공유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는 단체 및 기업 가운데, 6개월 이상 공유 사업 실적을 보유한 비영리 민간단체와 중소기업,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이라면 신청 가능하다.

공유단체·기업으로 지정되면 서울시장 명의의 지정서가 발급되고 공유 촉진 사업비 지원 자격이 주어진다. 또 공유도시 서울 로고 사용권, 공유 행사 초청, 홍보 및 네트워킹 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지정 기간은 지정일로부터 3년이며 기간이 종료되면 재지정 신청을 할 수 있다.

공유 촉진 사업비 지원은 시민 생활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공유 사업에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업비 지원은 지정 공모와 자유 공모로 나눠 진행된다. 지정 공모는 유휴 공간 및 자원 활용, 교통 체증 및 주차장 부족 등 교통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공유 사업으로, 최대 5000만원 이내에 지원한다. 자유 공모는 콘텐츠. 문화 예술 활성화 등 공유 문화 조성을 위한 사업이며 최대 3000만 원 이내에서 지원한다.

특히 올해에는 지난해보다 1억4000만원 늘려 총 4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하기로 함에 따라, 공유 사업의 사회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심사 기준도 강화한다. 사업 실현 가능성, 사업 수행 능력뿐만 아니라 공유 촉진 사업이 사회문제 해결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 다른 공유 사업과의 협업으로 얼마나 공유를 확장할 수 있을지 등이 기준에 포함된다. 아울러 영세한 비영리민간단체의 초기 자본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기존 자부담 비율 10%를 5%로 낮춘다.

앞서 시는 공유 촉진을 위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102개 공유 단체·기업을 지정한 데 이어, 총 15억30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한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내 손안에 서울 누리집(http://mediajob.seoul.go.kr), 공유허브(http://sharehub.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청은 담당자 이메일(hyekang@seoul.go.kr)로 받는다.

ksen@ksen.co.kr 변윤재 기자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