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0 (월)

  • 맑음춘천 17.9℃
  • 맑음서울 19.7℃
  • 박무인천 19.1℃
  • 맑음원주 19.0℃
  • 박무수원 17.3℃
  • 맑음청주 20.5℃
  • 맑음대전 19.3℃
  • 맑음포항 20.5℃
  • 맑음군산 17.9℃
  • 맑음대구 18.6℃
  • 구름조금전주 18.7℃
  • 박무울산 18.1℃
  • 구름조금창원 20.4℃
  • 구름많음광주 18.8℃
  • 박무부산 19.7℃
  • 구름많음목포 18.7℃
  • 안개여수 19.5℃
  • 구름많음제주 19.1℃
  • 맑음천안 17.1℃
  • 맑음경주시 18.1℃
기상청 제공

꽃길 지나니 흙길’..3만 벤처시대라지만, 62%가 3년내 중도탈락

통계로 본 창업생태계 제2라운드 연구


[꽃길 지나니 흙길’..3만 벤처시대라지만, 62%3년내 중도탈락]


 


한국의 창업소요기간은 4일이다(세계은행). 10년 전만 해도 22(세계 116)이던 창업절차가 초고속으로 이뤄지며 벤처기업 수는 사상최대(3만개)를 기록했다. 하지만 창립 3주년을 넘기는 기업은 38%에 그친다. 민간투자를 받아 새로운 도전에 나서기도, 판로확보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른바 창업 꽃길 지나니 성장흙길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6통계로 본 창업생태계 제2라운드보고서를 통해 지난 10년간 초고속 창업절차, 진입 규제 완화 등에 힘입어 ‘3만 벤처시대가 열리는 등 창업 1라운드는 성공을 거뒀다하지만 벤처투자 생태계 미비, 판로난 등으로 벤처기업의 62%3년을 못 버티는 것으로 나타났다.


  2.사진벤처기업생존률 비교.PNG




실제로 지난 10년간 창업 장벽은 크게 낮아졌다. 세계은행의 국가별 기업환경 보고서에 따르면(’06, ’16년 기준), 창업 등록단계는 12단계에서 2단계로 축소됐고, 소시간은 22일에서 4일로 줄었다. 스타트업 천국 미국의 5.6일도 앞질렀다. 우리나라 창업부문 경쟁력 순위도 116(175개국 대상)에서 11(190개국)까지 껑충 뛰었다. 이 같은 창업지원 인프라에 힘입어 벤처기업 수는 사상최대치인 3만개를 넘어섰다. 하지만 창업 3주년을 넘기는 기업은 전체의 38%에 불과했다. 10곳 중 6곳 이상의 벤처기업이 다음 라운드에 오르지 못한 채 좌절하는 셈이다. OECD 비교에서도 스웨덴(75%), 영국(59%), 미국(58%), 프랑스(54%), 독일(52%) 등에 크게 뒤처져 조사대상 26개국 중 25위를 기록했다. 민간 천사자금은 미국의 0.3% 수준 ... ‘판로개척난’(66%) 2라운드 진입의 장벽은민간중심 벤처투자 생태계 미비’,‘판로난이었다. 실제로 민간 벤처투자를 나타내는엔젤투자규모는 '14년 기준 834억원으로 미국 (25조원)0.3%에 그쳤는데 이에는 투자금 회수환경이 불리한 점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미국 나스닥 상장에는 6.7년 걸리지만 한국 코스닥 상장에는 평균 13 년이 걸린다.”법인사업자의 80% 이상이 10년 안에 문 닫는 상황에서 13년 후를 기대하며 자금을 대는 투자자를 찾기 힘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벤처기업은 일반적으로 기술역량은 높지만 제조역량과 마케팅역량이 낮다. 그래서 선진국에서는 기술상용화 가능성만으로 창업한 후 시장출시를 전후해 대기업 등에게 지분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투자자금을 조기회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M&A를 통한 자금 회수비중이 유럽에선 51%에 달하지만 우리는 1.3%에 불과하다. M&A 거래규모도 한국은 875억 달러로 미국의 1/22에 불과하다. 신현한 연세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미국의 경우 대기업이나 벤처캐피탈 등으로부터 민간투자를 받은 벤처기업들이 더 혁신적이라는 연구가 있다국내 대기업이나 해외 다국적기업의 투자를 통해 민간자본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성장에 필요한 자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보다 성공적인 벤처가 나올 것이라 조언했다. 해외에서 본 한국벤처의 투자매력도 역시 낮은 수준이다. 전세계벤처시장 매력도를 발표하는 스페인 나바다 경영대학원이 M&A시장, 금융시장 성숙도 등으로 벤처투자 매력도를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의 80% 수준에 불과했다. 한 전기부품 개발업체는 창업초기 3~4년을 지옥으로 표현했다. 그 회사 대표는 정부자금을 지원 받은 덕에 제품은 개발했지만 창업 6개월만에 바닥났다스마트폰 앱, 컨텐츠만 환영받는 민간 투자시장에서 아이디어 상품은 외면당하기 일쑤라고 말했다.


 


단기실적에 따라 투자가 쏠리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심해 안정적 자금조달이 힘들다고 호소했다. 전국적인 유통망이나 해외수출경험 부족도 문제다. 실제로 벤처기업의 65.6%가 국내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고 74.9%해외에 수출하지 않는 다고 말했다.


발열 손발팩을 제조하는 4년차 벤처 B사는 만들기만 하면 되는줄 알았는데 유통이 이렇게 힘든지 꿈에도 몰랐다며 혀를 내둘렀다. “유통 벤더를 만나기 위해 무작정 본사를 찾아가 사업제안서도 들이밀고 제품시연도 했지만 모두 허사였다고 말했다. “유통 네트워크를 만들어주기 보다는 유익한 유통, 물류 교육을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물고기보다 낚시하는 법을 가르쳐 달라는 것이다.


 


송의영 서강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기업가정신을 꽃피우려면 창업 자체만 촉진하는 방식보다 시장에서 끊임없이 가치를 창출해내는 기업들을 다수 육성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정부정책방향을 이제 스타트업(start-up)에서 스케일 업(scale-up)으로 레벨 업 할 때라고 말했다. 판로개척뿐 아니라 IPO 규제 간소 화, M&A 활성화 등 선진적인 민간 투자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창업 소요시간이 여권 발급시간보다 빠를 정도로 창업환경이 개선돼 기술력 높은 혁신벤처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대기업은 M&A를 통해 미래 신기술·신제품을 수혈 받고, 벤처기업은 민간투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업에 도전할 수 있는 대기업-창업기업 상생의 혁신생태계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2017215


   


자료: 대한상공회의소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