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구름조금춘천 24.1℃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수원 24.5℃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포항 27.2℃
  • 맑음군산 24.7℃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목포 23.0℃
  • 맑음여수 19.9℃
  • 구름조금제주 18.9℃
  • 맑음천안 24.9℃
  • 맑음경주시 28.3℃
기상청 제공

책으로 만드는 공유경제, 열린책장

기업_열린책장2.jpg

 




상호_주식회사열린책장
주소_대전광역시 대흥동222번지 3층
전화_ 042-719-1004
이메일_ CEO@wingbook.co.kr
홈페이지_ www.wingbook.co.kr
페이스북_ facebook.com/wingsbooks
블로그 blog.naver.com/sharebook



 



기업_열린책장.png



열린책장은 어떤곳인가요?
열린책장은 책장을 공유하는 서비스 입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책장에 있는 책’을 공유합니다. 누구나 자신의 책장을 등록하고, 서로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책장을 등록하면 누구나 도서관이 되는것입니다.



 



기업의 규모는 어떻게 되나요?
아직 씨앗단계입니다. 창업공간과 멘토링 교육, 다양한 네트워크를 지원받으며,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을 통해 인큐베이팅하고 있습니다.



 



열린책장만의 특징이 있나요?
책을 이용 할 수 있는곳은 ‘도서관, 작은도서관, 서점 등’너무 많습니다. 일방적인 ‘대여’가 아니라 나도 빌려줄 수 있는 ‘참여자’가 되는 것입니다.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대여’를 했던 사람은 ‘정’을 느끼며 다시 참여자가 됩니다.



 



기업의 사회공헌은 어떤 형태로?
독서지도를 활동으로 취약계층 아이들에게 꿈을 심어줍니다.
또한 비활용되는 책을 필요한곳으로 보내는 터미널 역할을 하면서 사회공헌을 하려합니다.



 



공유경제 서비스를 시작하며 어려운점은?
주위의 만류가 가장 컸습니다. 중고책방이나 서점이 사라지고 있고, 전자책과 작은 도서관이 늘어나고 있는데, 왜 굳이 책을 가지고, 시작한다는 건지 주위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었습니다. 특히 시장조사차 중고책방에 인터뷰를 나갔을 때 ‘힘들다. 절대로 하지마라’ 말씀들을 많이 하셨습니다. 그래도 책을 공유하는 일이 매력적인 이유는 책과 책 사이에 ‘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가진 책장을 공유하면 상대 역시 공유해주기 때문입니다. 도서관을 갈 필요도 없이 지인들의 책을 빌려 볼 수 있다는 것 참 매력적이지 않나요?



 



추진 중인 사업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아무래도 제가 살고 있는 대전을 중심으로 열린책장 운동을 진행하며 열린책장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해보려 합니다.



 



열린책장으로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페이스북이나 홈페이지를 공개하듯 자신의 책장을 공개를 하면 이런 일이 생기지 않을까요?
‘교수님 열린책장에 빌리러 갈게요~’
‘101호 새댁~ 책 좀 빌려줘~’
‘그 책 보셨어요? 저도 봤는데요~’
‘OO님 책 좀 빌려주세요’



 



마지막으로 한 마디 부탁드립니다!
자신의 책장을 열린책장으로 만드는 사람이 많아진다면 자연스럽게 책 읽는 사회, 책으로 사람이 연결되는 사회가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시니어 1기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숭의종합사회복지관은 지난 3월 12일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4월 30일까지 진행된 ‘스마트시니어 1기’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활용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 기획됐다. ‘스마트시니어’는 1대1 또는 2대1 맞춤형 교육 방식으로 봉사자와 어르신이 함께하는 1∙3세대통합 프로그램이다. 총 11명의 어르신과 6명의 봉사자가 참여한 가운데, ▲스마트폰 기본 설정과 유튜브 활용 ▲카카오톡 프로필 꾸미기 ▲카카오맵 활용 등 3회의 스마트폰 교육과 ▲카페·패스트푸드 키오스크 이해 및 실습 등 2회의 키오스크 이론 교육, ▲현장 실습 3회가 진행됐다. 교육 이후에는 실제로 카페, 무인상점, 패스트푸드점을 직접 방문해 스스로 키오스크를 이용해 주문·결제하는 실습 활동이 이뤄졌으며, 참여 어르신들의 높은 만족도와 자신감 향상을 이끌어냈다. 한 참여 어르신은 “가족들에게 직접 문자를 보낼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하다”고 전했고, 또 다른 어르신은 “매주 카페 모임에서 키오스크 사용이 어려워 부탁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