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춘천 28.3℃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원주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안동 30.2℃
  • 구름조금포항 31.4℃
  • 맑음군산 30.8℃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맑음창원 30.1℃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구름조금목포 30.6℃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기상청 제공

ExpressVPN 여론 조사: 직원 10명 중 6명, 메타버스서 고용주 감시 받을 것 염려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고은석 기자 | 재택근무는 이제 필수적인 일상이 됐으며, 기업들은 메타버스 내 직장의 이점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이는 불가피한 변화로서 원격 근무가 수면 위로 끌어 올린 몇 가지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메타버스 직장이 제공하는 모든 긍정적 측면에도 원격 근무가 직원들에게 미치는 특정한 부정적 측면을 강화하기만 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

이런 주제를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ExpressVPN은 폴피시(Pollfish)의 협력 아래 미국 근로자 1500명과 고용주 1500명을 조사해 그들이 메타버스에서 일하는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연구를 진행했다.

◇기술 발전으로 생산성 향상

직장이 사무실이 아닌 환경으로 계속해서 이동함에 따라 근로자(90%)와 고용주(88%) 모두 기술 발전이 생산성을 높이고 동료와의 연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직원들은 특히 서로 가장 가깝게 연결돼 있음을 느끼게 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화상 회의(27%)와 대면 회의(19%)를 꼽고 있다. 고용주들은 화상 회의(32%)에 대한 직원들의 의견에 동의했다. 하지만 고용주들은 메타버스(17%)를 동료들과 연락을 유지하는 차선책으로 보고 있으며, 반면 직원의 9%만이 그렇게 생각했다.

◇고용주들은 메타버스에 대해 훨씬 더 큰 기대감과 호기심 느껴

대다수 고용주는 메타버스 근무의 미래에 대해 기대감(66%)과 희망감(54%)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직원들은 불안감(24%)과 의심(20%), 혼란(17%)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조사돼 전반적으로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직장 감시 강화할 기회를 만들어 직원 반발 초래

ExpressVPN은 직원 모니터링 소프트웨어가 고용주들의 직원 감시를 위한 수단이 될 경우, 메타버스는 감시 활동의 가능성을 높이기만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존 감시 전략을 살펴보면 고용주의 73%가 현재 직원을 감시하고 있다고 인정했다.

직장 감시와 관련해 직원들이 가장 염려하는 부분은 실시간 위치 추적(51%), 실시간 화면 모니터링(50%), 근무 시간 추적(47%)이다. 한편 고용주는 직장 회의 기록(42%), 근무 시간 추적(39%), 실시간 위치 추적(39%), 화면 모니터링(39%) 등에 가장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xpressVPN의 부사장인 해롤드 리(Harold Li)는 '많은 직원이 더 이상의 감시를 받아들이기를 꺼리고 있으므로, 고용주는 가상 직장에서 더 많은 모니터링 활동을 구현할 계획을 세울 때 신중하게 행동해야 하며 직원들 사이에서 신뢰도와 만족도를 잃을 가능성을 감수할 가치가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체 연구 결과 및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ExpressVPN 블로그를 방문하면 된다.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 현장에서 활용하는 생성형 AI’ 교육 개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황인규 기자 |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8월 29일 성남아트센터에서 ‘청소년 현장에서 활용하는 생성형 AI’를 주제로 교육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강의는 성남혁신지원센터 김상봉 팀장이 진행했으며,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청소년 이해와 지원에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생성형 AI 도구와 적용 사례를 중점으로 진행됐다.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지역 내 청소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성을 높이는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번 교육은 학교와 유관기관 소속 실무자들이 참여해 상담 및 지원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양경석 대표이사는 교육 현장을 찾아 참여자들을 격려하며 “이번 교육은 단순히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자리가 아니라,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을 더 깊이 이해하고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가 됐다”며,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청소년 교육과 상담, 복지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는 만큼, 이번 배움이 현장에서 맞춤형 지원과 보호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