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춘천 13.8℃
  • 맑음서울 14.6℃
  • 맑음인천 12.8℃
  • 맑음원주 14.1℃
  • 맑음수원 14.8℃
  • 맑음청주 14.5℃
  • 맑음대전 15.9℃
  • 구름조금안동 14.0℃
  • 맑음포항 17.5℃
  • 맑음군산 14.3℃
  • 맑음대구 16.0℃
  • 구름조금전주 15.8℃
  • 구름많음울산 18.3℃
  • 구름조금창원 16.6℃
  • 구름조금광주 16.1℃
  • 구름많음부산 20.0℃
  • 구름많음목포 14.4℃
  • 구름많음여수 16.4℃
  • 흐림제주 18.6℃
  • 맑음천안 14.0℃
  • 구름많음경주시 17.6℃
기상청 제공

경기도교육청, 2026년도 본예산 22조 9,259억 원 편성…긴축 속 미래교육 집중 반영

경기도교육청, 2026년도 본예산 22조 9,259억 원 편성…긴축 속 미래교육 집중 반영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본예산안을 22조 9,259억 원 규모로 편성해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전년도 본예산 23조 640억 원보다 1,381억 원 줄어든 금액으로, 세입 감소와 경직성 경비 증가에 따른 고강도 구조조정 속에서도 학생 중심의 직접교육활동비와 미래교육 정책사업비를 최대한 반영했다.

 

도교육청은 보통교부금이 전년 대비 5,162억 원 늘었으나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과 기금전입금이 각각 1,272억 원, 7,094억 원 감소해 전체 재정 규모가 축소됐다고 밝혔다. 세출 구조에서는 인건비 인상분(3.5%) 반영으로 경직성 경비가 전체 예산의 90%에 달하는 20조 6,337억 원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운영비 10% 감액, 신규 시설사업 억제, 불요불급한 사업 전면 재검토 등 강도 높은 지출 조정을 단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긴축 재정 속에서도 학생이 체감할 수 있는 교육정책에는 예산을 집중했다. 하이러닝, 경기공유학교 등 미래교육사업과 통학버스·교복지원 등 학생 직접지원 사업은 전액 반영해 공교육 강화를 추진했다.

 

주요 세출 예산은 4대 정책 영역으로 편성됐다.
첫째, 학교 자율과 책임 강화를 위한 교육에는 학교기본운영비 1조 5,747억 원, 유보통합지원 1조 1,506억 원, 특수교육 1,223억 원, 기초학력보장 463억 원 등 총 3조 3,467억 원이 투입된다.


둘째, 지역협력 기반 교육에는 문화예술체험 677억 원, 경기공유학교 401억 원, 미래직업교육 517억 원, 학교급식 7,144억 원 등 1조 4,534억 원이 배정됐다.
셋째, 미래교육 확산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개선 1,747억 원, AI 기반 교수학습시스템 운영 160억 원, 경기온라인학교 운영 29억 원 등 4,405억 원이 포함됐다.
넷째, 공교육 기반 강화 행정에는 학교시설환경개선 8,513억 원, 학교신·증설 6,522억 원, 인건비 13조 6,521억 원 등 17조 6,853억 원이 편성됐다.

 

갈인석 예산담당관은 “재정 규모 축소라는 어려움 속에서도 각 기관과 협력해 학생 교육활동비를 최우선으로 반영했다”며 “건전한 재정 기조를 유지하면서 미래교육 기반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예산안은 제387회 경기도의회 정례회에서 심의·의결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