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미래교육, 학교 중심으로 전환…‘학교 레버리지’ 정책 본격 추진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13일 ‘경기미래교육 학교 중심 정책’을 발표하고, 교육정책의 중심을 학교교육 방향으로 이동시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번 정책은 학교 밀착형 지원과 자율성 강화를 통해 미래교육을 실현하려는 전략이다.
도교육청은 올해 초 ‘미래교육청’으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이를 위한 기반 조성의 일환으로 ‘미래교육지원청’ 시범 운영을 준비 중이다. 이번 정책은 이를 구체화한 형태로, 교육지원청과 직속기관에 ‘학교 중심 정책’ 추진 방향을 안내했다.
정책의 추진 체계는 ‘학교 레버리지(leverage)’로 명명되었으며, ▲미래장학 ▲학교평가 ▲학교교육 소통 ▲경기미래교육의 학교 등 4가지 핵심 전략으로 구성된다.
‘미래장학’은 학교와 함께 하는 새로운 장학 패러다임으로, 학교의 자율성과 역량 강화를 도모한다. ‘학교평가’는 교육활동 전반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자율운영을 지원한다. ‘학교교육 소통’은 경기미래교육의 방향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실행 기반을 다지는 역할을 한다.
특히 ‘경기미래교육의 학교’ 전략은 학생의 삶과 연결된 배움, 확장된 학습생태계,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학교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한다.
도교육청은 이러한 정책을 바탕으로 ‘경기미래교육 중심학교’를 운영해 학교 현장에 미래교육 철학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인성과 역량 중심의 교육 가치를 학교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세심한 행정적 뒷받침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