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경상남도는 기존의 개별법 중심 피해자 보호사업이 디지털 범죄, 스토킹, 빈곤 등 복합적 폭력 피해 상황과 가족폭력 가정 미성년 자녀 등에 대한 피해자 보호에는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하여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긴급전화 1366경남센터를 거점기관으로 지정하고, ‘여성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사업’과 ‘젠더폭력 재발방지 통합관리사업’을 통해 도내 지원시설과 연계한 통합적·지속적 지원체계로 대응을 강화했다.
지난해 정부공모 사업으로 선정된 여성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사업은 거점기관인 여성긴급전화 1366경남센터 주관으로 도, 경찰, 사회보장협의체, 법률기관 등으로 협업체계를 구축해 디지털 범죄, 스토킹, 빈곤 등 복합적 폭력 복합 피해 상황에서도 신속하고 빈틈없은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상담소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지원이 원활하지 않은 시군(의령, 산청, 함양)에는 찾아가는 방문 상담을 실시하여 지역간 서비스 격차를 해소하고 있다.
아울러, 경상남도는 전국 최초로 ‘젠더폭력 재발방지 통합관리사업’을 도 자체사업으로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기존에는 폭력 발생 시 경찰 현장에 전문상담원이 동행하고, 성인 가해자를 대상으로 상담과 교정 프로그램이 이루어졌지만, 올해부터는 지원 대상을 가정 내 미성년 자녀로까지 확대하여, 폭력이 대를 이어 반복되지 않도록 조기에 개입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특히, 가정폭력 환경에서 폭력을 목격하고 학습한 ‘미성년 행위자’와 정서적 학대 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분노 조절 훈련 등 맞춤형 심리치료를 제공하며, 폭력의 대물림을 구조적으로 차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내년 초 성과평가를 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미비점을 보완하여 보다 효과적인 통합지원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박현숙 경남도 여성가족과장은 “여성‧젠더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등 현장 밀착형 지원 확대와 더불어, 긴급 대응뿐 아니라 피해자의 장기적 회복까지 책임질 수 있도록 통합사례를 관리하고, 전담인력을 배치해 피해자 상황에 맞춘 맞춤형 통합지원을 보다 촘촘하고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