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구름조금춘천 24.1℃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수원 24.5℃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포항 27.2℃
  • 맑음군산 24.7℃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목포 23.0℃
  • 맑음여수 19.9℃
  • 구름조금제주 18.9℃
  • 맑음천안 24.9℃
  • 맑음경주시 28.3℃
기상청 제공

메이커시티로 비상하는 세운의 내일은

30다시세운 도시재생의 실천과 과제시민 대토론회

내부 관계자부터 외부 전문가까지 성과 및 향후 방향 논의

서울시가 시민과 함께 세운상가 일대 도시재생사업의 향후 방향을 논의하는 토론회를 개최한다.

서울시는 오는 30일 ‘다시세운 도시재생의 실천과 과제’ 시민 대토론회를 연다. 호텔 PJ 1층 뮤지홀에서 개최되는 이번 토론회는 2년 간 다시세운 프로젝트의 활동을 돌아보고, 메이커시티(제조업 혁신공간)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세운상가재생사업의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의 대표적 사례로 손꼽힌다. 종로에서부터 퇴계로, 돈화문로에서 창경구로를 경계로 하는 지역으로 총 면적 43만9356.4㎡에 달한다. 서울 사대문 안에 남은 마지막 대규모 재개발지인 만큼, 주목받아왔지만 개발 계획은 순탄하지 못했다. 이 과정에서 2009년 세운상가는 전면 철거될 위기에 놓이기도 했다.

종합 가전제품 상가로 1990년 초반까지 호황을 누렸던 세운상가는 1968년 국내 최초 주상복합이자 도심제조업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용산전자상가가 형성되고 강남 개발로 상권이 이동함에 따라 슬럼화됐다. 도심 속 흉물로 전락했던 세운상가는 ‘다시세운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따라 메이커시티로 탈바꿈 중이다. 최근 제품 개발부터 제작, 판매, 배송까지 전 과정을 세운상가 입주기업이 협업하는 ‘세운공장협동조합’이 출범하기도 했다.

시는 세운재생사업이 국내 도시재생사업의 롤모델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의제를 놓고 내부 관계자부터 외부 전문가까지 함께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다시세운의 시작과 현재’ ‘지속가능한 메이커시티를 위하여’로 나눠 세운재생사업의 방향을 논의한다. 또 세운상가군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세운메이커스큐브 입주기업, 예술가, 상인, 세운협업지원센터 기술중개소 등이 세운에서의 활동, 계획, 당면 과제 등을 토론한다. 이와 함께 다시세운 프로젝트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민을 공유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시니어 1기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숭의종합사회복지관은 지난 3월 12일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4월 30일까지 진행된 ‘스마트시니어 1기’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활용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 기획됐다. ‘스마트시니어’는 1대1 또는 2대1 맞춤형 교육 방식으로 봉사자와 어르신이 함께하는 1∙3세대통합 프로그램이다. 총 11명의 어르신과 6명의 봉사자가 참여한 가운데, ▲스마트폰 기본 설정과 유튜브 활용 ▲카카오톡 프로필 꾸미기 ▲카카오맵 활용 등 3회의 스마트폰 교육과 ▲카페·패스트푸드 키오스크 이해 및 실습 등 2회의 키오스크 이론 교육, ▲현장 실습 3회가 진행됐다. 교육 이후에는 실제로 카페, 무인상점, 패스트푸드점을 직접 방문해 스스로 키오스크를 이용해 주문·결제하는 실습 활동이 이뤄졌으며, 참여 어르신들의 높은 만족도와 자신감 향상을 이끌어냈다. 한 참여 어르신은 “가족들에게 직접 문자를 보낼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하다”고 전했고, 또 다른 어르신은 “매주 카페 모임에서 키오스크 사용이 어려워 부탁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