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춘천 16.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기상청 제공

‘친환경’ 인증했더니 찾는 소비자 늘었다

인증기업 10곳 중 9, 매출 평균 20% 증가

친환경이 대세다. 환경표지 인증을 받은 기업 제품의 매출이 평균 20%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나 친환경이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았음을 반증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한 956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52개 기업이 평균 20.1%의 매출이 늘어났다고 답했다. 인증기업의 89.1%, 즉 10곳 중 9곳이 친환경 표지로 인해 더 많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은 셈이다.

환경표지 인증은 제품을 생산·소비·폐기하는 전 과정에서 에너지와 자원의 소비를 줄이고 오염물질을 최소화한 제품과 서비스를 선별해 친환경 표지를 부여하는 제도다. 같은 용도의 다른 제품에 비해 친환경적 측면에서 개선된 경우, 평가를 거쳐 인증표시를 할 수 있다. 소비자가 인증제품을 구매하면 그린카드와 연계, 에코머니 포인트를 받는다. 기업에게도 공공구매 우선구매의 혜택을 준다. 특히 영세기업의 경우엔 전년도 총 매출액 기준으로 인증표지 연간 사용료를 30~90%까지 감면해준다.



이번 조사를 통해 환경표지 인증이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도움이 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다만 매출 증가율은 기업마다 편차가 있었다. 절반에 달하는 497개 기업(52%)이 10% 이하, 143개 기업(15%)이 10~20% 사이, 141개 기업(14.7%)이 20~50% 사이, 71개 기업(7.4%)이 50~10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808곳으로 친환경 인증 효과를 톡톡히 누렸고 사회적기업 83곳, 중견기업 46곳 순이었다. 대기업도 19곳이 포함됐다. 인증기업이 체감하는 간접 효과도 상당했다. 제품의 환경성 개선(94.5%), 고객과의 관계 개선(93.8%), 기업 이미지 향상(93.7%) 등에서 인증기업들은 만족감을 표시했다. 이와 관련, 실제 한국표준협회가 환경표지 인증기업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총 2034개 기업에서 1조 1980억원의 매출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환경부는 환경표지 인증이 기업의 환경성을 홍보하고 녹색시장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인증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남양주시 장애인가족에 따뜻한 나눔 실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남양주시는 지난 8일,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가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장애인 가족을 위한 후원금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달식은 장애 자녀를 돌보는 장애인가족의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달식에는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배애련 센터장과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 등이 참석해 나눔의 의미를 함께했으며, 후원금은 우리 시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제공기관을 이용해 심리상담을 받고 있는 장애인 가족의 정서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김민서 대표는“일상에 지친 장애인 가족들에게 작지만 따뜻한 쉼과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봉사와 나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배애련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장은 “따뜻한 후원을 해주신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께 감사드리며, 장애인가족에게 실질적인 위로와 격려가 되는 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서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가족을 위한 따뜻한 후원에 감사드리며, 시에서도 장애인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