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는 북한이탈주민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남북한 통합과 상호 신뢰형성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활성화 대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충남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거주 중인 북한이탈주민은 총 882명(2013. 5. 31기준)으로 최근 들어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지만 가치관과 문화의 차이로 인해 경제적 자립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 중 여성과 청소년의 비중이 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정책지원과 지역별 고른 서비스 제공에서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남북한 지역주민의 통합과 상호신뢰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정책으로 △지역사회 적응·자립 △남북한 주민화합 △청소년의 건강한 적응 △민관 협력체계 구축 등 4개 분야 12개 과제를 설정·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지역사회 적응·자립 분야는 △지역적응센터 추가 설치 및 운영활성화 △북한이탈주민 사회적기업 육성 △북한이탈주민 공무원 채용 △정신건강 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 4개 과제를 추진한다.
남북한 주민화합 분야로는 △자원봉사단 운영 △이북5도민회와 함께하는 남북가족 자매결연 △찾아가는 통일교실 운영 등이다.
또 청소년의 건강한 적응 분야로는 △학교밖 청소년 학업지원 △지역 대학생과 1:1 멘토링 △청소년 역량강화 캠프가 추진되며 민관협력 체계구축 분야로는 △지역협의회 운영 활성화 △실무협의체 구성·운영 등이 추진된다.
충남도는 이날 아산시 안희정 도지사와 북한이탈주민간 대화의 시간을 갖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사업에 대한 생생한 의견수렴의 기회를 가졌다.
이날 대화의 시간은 아산시 북한이탈주민쉼터에서 북한이탈주민과 정착지원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안 지사는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 정착은 가장 의미 있는 통일 준비작업”이라며 “그동안 수혜적이고 단기적인 지원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남북한 주민간 신뢰형성을 통해 통일시대를 대비하자”고 말했다.
(충남도청, 201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