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교육감, “예상치 못한 전시상황도 신속히 판단해야”

  • 등록 2025.08.18 12:48:46
  • 조회수 15
크게보기

-경기도교육청, ‘2025 을지연습’ 돌입… 오는 21일까지 24시간 비상근무-

임태희 교육감, “예상치 못한 전시상황도 신속히 판단해야”

 

 

 

-경기도교육청, ‘2025 을지연습’ 돌입… 오는 21일까지 24시간 비상근무-

경기도교육청이 18일부터 21일까지 3박 4일간 24시간 비상근무 체제로 ‘2025 을지연습’에 들어갔다. 임태희 교육감은 첫날 남부청사 전시종합상황실에서 열린 최초 상황 보고에서 “예상하지 못한 전시상황에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논의 구조가 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초 상황 보고 진행

이날 최초 상황 보고에는 임 교육감을 비롯해 김진수 제1부교육감, 남부청사 국·과장들이 참석했으며, 영상회의를 통해 제2부교육감과 북부청사 간부들도 함께했다. 교육청은 실제 전시 상황을 가정해 단전·단수 대응, 방독면 착용 훈련을 실시했고, 올해는 AI를 활용해 상황 메시지를 부여하는 새로운 방식을 처음 도입했다.

 

스마트워크 한계 지적

임 교육감은 보고 후 “경기도교육청이 시행 중인 스마트워크가 위기 상황에서는 작동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대면 구조로 전환해 신속히 논의하고 결정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장 권한 위임 강조

그는 이어 “비상 상황에서는 의사결정 권한도 현장에 상당 부분 위임될 수 있다”며 “즉시 바꿔야 할 부분과 평소와 달라지는 부분을 살펴보는 훈련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전적 훈련의 중요성

임 교육감은 “을지연습은 단순한 모의훈련이 아니라 실전적인 감각을 익히고 개선점을 찾아내는 교육적 기회가 되어야 한다”며 “4일간의 훈련을 통해 실질적인 대응 능력을 키우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새로운 방식의 훈련

올해 훈련에서는 전년도 개선사항을 반영해 실제성과 체감도를 높였다. 특히 통제부가 구상한 상황에 AI를 접목해 현장 대응을 실시간 점검하는 방식은 처음 시도됐다. 이는 위기 대응 체계를 다각도로 검증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5천900명 참여하는 대규모 훈련

이번 을지연습에는 도교육청 본청과 직속기관, 25개 교육지원청 등에서 5천900여 명이 참여한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번 훈련을 통해 비상 상황 대응체계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교육행정 전반의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임태희 교육감은 “이번 훈련은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새로운 배움의 과정”이라며 “위기 속에서도 교육이 멈추지 않도록 준비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인효 기자 kjc816@ksen.co.kr




CopyrightⓒKSEN.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