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 2025 중등 수업개선지원단 역량 강화 연수 개최

  • 등록 2025.05.07 17:30:05
크게보기

젊은 교감과 수석교사 중심의 실천형 전문가 조직...수업혁신의 방향을 다시 묻다!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고은석 기자 | 경북교육청은 7일 의성군에 있는 의성조문국박물관에서 2025 중등 수업개선지원단 소속 교감 54명과 수석교사 23명 등 총 77명이 참석한 가운데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개최했다.

 

중등 수업개선지원단은 도내 중등 교원들의 수업 전문성 강화를 위해 경북교육청이 매년 위촉․운영하는 전문가 조직이다. 우수 수업 컨설팅과 수업선도교사․수업명인 대상 수업 심사 등을 수행하며, 경북의 ‘좋은 수업’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번 2025년 수업개선지원단은 기존과는 다른 구성과 운영 방식을 도입했다. 지난해까지는 교장과 교감, 수석교사, 교육전문직 등 다양한 경력자의 참여로 운영됐으나, 올해는 수석교사와 최근 2년 이내 임용된 ‘젊은’ 교감으로만 단원을 구성하며, 젊고 실천적인 전문가 중심의 구조로 탈바꿈을 시도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인적 구성의 조정이 아닌,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을 다시 묻는 깊은 성찰에서 출발했다. 급변하는 교육과정과 평가 방식의 변화 속에서 수업도 함께 진화해야 하며, 이를 가장 가까이에서 체감하고 실천한 이들이 바로 수석교사와 최근까지 교실에 있었던 신규 교감이라는 것이다.

 

과거의 수업 관행이나 평가 기준이 잘못됐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라떼는 말이야’식의 사고방식만으로는 현재 교실의 수업을 온전히 평가할 수 없다는 비판적 성찰이 이번 개편의 밑바탕이 됐다.

 

이날 연수에서는 개정된 수업심사표를 중심으로 심사의 방향성과 기준을 공유하고, 심사와 컨설팅의 실제 적용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현장 교사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컨설팅은 어떻게 가능할지, 교과 전문성과 인간적인 조언이 조화를 이루려면 어떤 접근이 필요한지를 두고 활발한 토론이 이어졌다.

 

올해 수업개선지원단의 활동은 예년보다 이른 5월부터 본격화된다. 이는 수업선도교사 심사 일정과 연계한 조치로, 빠르게 새 체제가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석이다. 동시에, 지원단 운영의 효율성과 실제적 효과를 시험하는 새로운 도전이기도 하다.

 

경북교육청은 앞으로도 교실 수업의 질적 전환을 위해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존중하며, 현장 중심의 수업 혁신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임종식 교육감은 “수업개선지원단의 안목이 곧 경북교육의 수업 기준이 될 것”이라며, “지원단이 제시하는 좋은 수업의 기준이, 교사들이 실제로 하고 싶어 하는 수업의 전형이자 모범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은석 기자 kes816@naver.com
<© 2014 - 2025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모든 권리 보유. 본 기사의 내용은 비상업적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한국사회적경제신문의 명시적 허가 없이 재배포할 수 없습니다.>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28길 24, 803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 05353 등록일 : 2014.6.19 발행·편집인 : 고재철 대표번호 : 02) 714-1076 한국사회적경제신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2014 - 2025 한국사회적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